OS 28

Eclipse을 통한 개발

src : 프로젝트를 구성하는 소스파일 포함. 프로젝트 이름의 Activity로 java 파일 자동 생성이 된다. gen : 각종 데이터를 변수로 만들어서 저장. 안드로이드 내부에서 사용. 이용자*** 이 부분을 바꾸는 것은 금지. asserts(자산) : 바이너리 파일을 이용자가 직접 관리하는 영역. 잘 쓰이지 않아 대부분 빈 폴더. res : 프로그램 실행에 필요한 각종 자우너을 저장해 두는 공간. 1. drawable : 이미지 저장 장소. drawable 뒤의 접미어 hdpi는 해상도를 뜻함. 같은 이미지라도 어디에 저장하느냐에 따 라 표시되는 이미지 크기가 달라진다. 해상독 낮을수록 이미지는 커진다. hdpi - mdpi - ldip 순으로 해상도가 낮아짐(high, middle, low). 2..

OS/Android 2011.12.29

가상메모리기법

가상기억장치 기법 - Atlas 컴퓨터 시스템에서 처음 나타났다. - 두가지 구현 방법이 있다. 페이징 기법 - 블럭의 크기가 동일한 고정된 크기로 가상 기억장소를 구성 세그먼트 기법(Segmentation) - 블럭의 크기가 다른 가변적인 크기로 가상 기억장소를 구성 실행 프로세스가 참조하는 주소를 virtual address(가상주소)라 한다. 주기억장소에서 사용할수 있는 주소를 real address(실주소)라 한다.

OS/Linux 2011.08.18

find

find [경로][옵션] -name [파일이름] 파일이름과 일치하는 것 검색 -perm [권한] 권한과 일치하는 파일 검색 ex) find / -user level2 -perm -4000 4000의 의미는 -(최소한), 4(SetUID)가 걸린 000(모든 파일)을 의미. -user [유저] user와 일치 -group [그룹] group과 일치 -empty 비어있는 파일이나 디텍토리 검색 -size [±파일크기][bckw 택 1] 파일크기와 일치하는 것 검색 b : 블록단위 c: byte k : KByte w : 2byte 워드 단위가 없을 때 -> default로 b 파일크기에 + : ~이상 - : ~이하 부호 없을 때 -> 그 크기의 파일 -type [파일타입] b : 블록 특수 파일 (block ..

OS/Linux 2011.07.22

shadow file, passwd file for hackerschool level8

shadow file 전통적으로는 /etc/passwd 에 사용자 계정 정보를 보관. 하지만 이 파일은 수많은 도구들이 사용하게되므로 누구든지 읽을 수 있도록 되어있다. (예를 들어 파일의 소유자를 보여주기 위하여 사용자 번화와 사용자 이름을 매치한다.). 결국 이는 어느 정도 보안상의 위험을 야기한다. 또 하나의 방법은 shadow file을 이용. 이는 전통적인 방식(/etc/passwd)과 호환성 있는 형식으로 저장 된다. 패스워드는 실제로 /etc/passwd에 저장되지 않고 이 곳에는'x' 한 글자만을 넣어둔다. /etc/shadow에는 암호화된 패스워드와 그 외의 정보, 즉 패스워드 유효기간을 저장. /etc/shadow는 root 만이 읽을 수 있음. /etc/shadow 사용자의 패스워드가..

OS/Linux 2011.07.22

hackerschool level10 공유메모리

공유메모리(shared memory) 기본적으로는 프로세스에서 사용되는 메모리 영역은 해당 프로세스만이 사용. 하지만 때때로 여러개의 프로세스가 특정 메모리영역을 사용할 때 있음. 이때 공유 메모리 씀 (System V IPC 설비 중의 하나) 프로세스는 자신의 업무를 수행하기 위해 필요한 자료를 저장하기 위한 메모리 공간을 가질 때 이 메모리 공간에 CPU에 의해 수행되는 명령어들, 프로그램 시작시 정의되고 초기화되는 data, 프로그램 시작시 정의되었지만 초기화 되지 않은 data, 함수호출에 필요한 정보, 동적할당이 이루어지는 data 등이 들어가게 된다. 프로세스 시작 -> 커널로부터 메모리 공간을 요구하여 할당 받음(이 공간에는 기본적으로 메모리를 요청한 프로세스만 접근가능) 이 때 이 메모리 ..

OS/Linux 2011.07.20
반응형