반응형
가상기억장치 기법
- Atlas 컴퓨터 시스템에서 처음 나타났다.
- 두가지 구현 방법이 있다.
페이징 기법
- 블럭의 크기가 동일한 고정된 크기로 가상 기억장소를 구성
세그먼트 기법(Segmentation)
- 블럭의 크기가 다른 가변적인 크기로 가상 기억장소를 구성
실행 프로세스가 참조하는 주소를 virtual address(가상주소)라 한다.
주기억장소에서 사용할수 있는 주소를 real address(실주소)라 한다.
- Atlas 컴퓨터 시스템에서 처음 나타났다.
- 두가지 구현 방법이 있다.
페이징 기법
- 블럭의 크기가 동일한 고정된 크기로 가상 기억장소를 구성
세그먼트 기법(Segmentation)
- 블럭의 크기가 다른 가변적인 크기로 가상 기억장소를 구성
실행 프로세스가 참조하는 주소를 virtual address(가상주소)라 한다.
주기억장소에서 사용할수 있는 주소를 real address(실주소)라 한다.
반응형
'OS > Linux' 카테고리의 다른 글
gcc에서 -static 오류 (0) | 2011.09.02 |
---|---|
Fedora에서 VMWare 사용시 vmware kernel Module Updater (0) | 2011.09.01 |
서브 디텍토리 (0) | 2011.08.18 |
find (0) | 2011.07.22 |
shadow file, passwd file for hackerschool level8 (0) | 2011.07.22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