반응형
fstream 사용
ifstream fin(filename) 파일을 열기 위해 써먹는다.
ofstream fout(foutname) 파일을 출력하기 위해 써먹는다.
fin.get(ch) : 배열의 문자들을 하나씩 읽어들인다. 단, 이 때 값은 문자형으로 읽는다.
C에서는 fgetc(fin)으로 읽어들인다. 단, 이 때 값은 정수형으로 읽는다. {
파일의 끝에 다달았을 때 이를 구분하기 위해 EOF 라는 특별한 값을 사용한다.
EOF 값은 문자가 나타내는 범위를 벗어난 값이어야지만 정상적인 입력 문자와 구분할 수 있다. 그래서 char 대신 int 형으로 값을 받는 것이다.
ch = fgetc(fin);
while(ch != EOF) {
ifstream fin(filename) 파일을 열기 위해 써먹는다.
ofstream fout(foutname) 파일을 출력하기 위해 써먹는다.
fin.get(ch) : 배열의 문자들을 하나씩 읽어들인다. 단, 이 때 값은 문자형으로 읽는다.
C에서는 fgetc(fin)으로 읽어들인다. 단, 이 때 값은 정수형으로 읽는다. {
파일의 끝에 다달았을 때 이를 구분하기 위해 EOF 라는 특별한 값을 사용한다.
EOF 값은 문자가 나타내는 범위를 벗어난 값이어야지만 정상적인 입력 문자와 구분할 수 있다. 그래서 char 대신 int 형으로 값을 받는 것이다.
ch = fgetc(fin);
while(ch != EOF) {
printf("%c", ch);
ch = fgetc(fin);
ch = fgetc(fin);
}
이 구조는 중요. 자주 쓰임.
}
파일을 프로그램 밖의 문자의 배열로 생각하자. 또한 문자는 그 자체로 값이 된다. C에서 char는 1바이트의 크기와 -128~127까지의 값을 가진다. 문자는 이 범위 내에서 논다.
바이너리 파일에 대응되는 파일이 텍스트 파일이다. 우리가 눈으로 보고 읽을 수 있는 텍스트와 제어 문자를 포함한 파일이 텍스트 파일이며, 이 외의 파일이 바이너리 파일이다. 텍스트 파일을 바이너리 파일로 열을수도 있다.
보통 cpp 파일은 텍스트 파일로 되어있다.
이 구조는 중요. 자주 쓰임.
}
파일을 프로그램 밖의 문자의 배열로 생각하자. 또한 문자는 그 자체로 값이 된다. C에서 char는 1바이트의 크기와 -128~127까지의 값을 가진다. 문자는 이 범위 내에서 논다.
바이너리 파일에 대응되는 파일이 텍스트 파일이다. 우리가 눈으로 보고 읽을 수 있는 텍스트와 제어 문자를 포함한 파일이 텍스트 파일이며, 이 외의 파일이 바이너리 파일이다. 텍스트 파일을 바이너리 파일로 열을수도 있다.
보통 cpp 파일은 텍스트 파일로 되어있다.
반응형
'Programming > C_C++' 카테고리의 다른 글
포인터와 배열의 관게 (0) | 2012.02.23 |
---|---|
상속 (0) | 2011.10.10 |
전처리기 활용 ** (0) | 2011.08.17 |
전처리기 (0) | 2011.08.17 |
ture, false (0) | 2011.07.18 |